발제: 김경옥 HK연구교수2022년 5월 6일 『상호교차성』(Intersectionality, 2016)은 1980년대 이후 미국사회와 학계에서 활발하게 논의되어온 상호교차성의 역사적 기원과 중심 개념을 설명하고 있다. 저자 패트리샤 힐 콜린스(Pat...
발제: 정현규 교수(독일언어문화학과)2022년 6월 3일주디스 버틀러는 연대하는 신체들과 거리의 정치에서 현시대를 신자유주의적 자립과 개인의 책임이 무자비하게 강조되는 시대이며, 이로 인해 취약성과 불안정성이 무한정 재생산되는 시대라고 진단하고 있다....
발제: 이행미 HK연구교수2022년 3월 4일 『시설사회: 시설화된 장소, 저항하는 몸들』은 한국 사회의 정상성에 의해 배제되고 혐오스러운 존재가 된 다양한 주체들의 목소리를 담고 있으며, 이 다양한 얼굴들을 ‘시설화’라는 관점에서 교차적으로 살펴본...
발제: 이재준 HK교수2022년 2월 4일 기계 혐오를 이해하려는 좁은 통로 하나가 보인다. ‘기계비평’이 그것이다. 기계란 운동을 일으키도록 힘을 규칙적으로 반복 적용함으로써 작동하는 장치이자 장치들의 조합이다. 루이 스 멈포드가 고대 문명에서 소수...
발제: 강미영 HK교수2022년 1월 7일 이 책은 문화사회학적 시각으로 한국 사회의 세대론 및 세대 현상의 특성을 탐구한다. 1부에서는 세대 개념의 이론적 함의를 살펴보고, 지금까지 한국 사회에서 세대를 둘러싸고 진행되어 온 논의와 문제점들을 개괄해...
발제: 전유정 HK연구교수2021년 12월 3일카스 무데는 『혐오와 차별은 어떻게 정치가 되는가』에서 무엇보다 21세기 유럽과 미국을 중심으로 현실 정치가 우경화되는 과정에 집중하고 있다. 이를 위하여 극우주의의 역사, 이념, 조직, 인물, 활동, 원...
발제: 박승억 교수(기초교양학부)2021년 11월 5일 이 책, 『나는 에이지즘에 반대한다This Chair Rocks: A Manifesto against Ageism』(A.Applewhite 저, 이은진 역, 시공사, 2016)는 미국 사...
발제: 신하경 교수(일본학과)2021년 10월 1일 ○ 책의 선정 이유현재 ‘교차성’(intersectionality) 개념은 인종주의와 젠더뿐 아니라, 섹슈얼리티나 계급, 민족성, 환경 그리고 이 책의 주제인 장애와 동물 등 다양한 사회적 억압과 관...
발제: 전경숙 HK연구교수2021년 9월 3일소수자의 역사는 차별과 배제의 역사인 동시에 사람다움을 지켜주는 인권의 역사이자 각기 다른 삶을 포용하는 다양성의 역사이다. 『보이지 않은 역사-한국 시각장애인들의 저항과 연대』는 사회적 약자 집단...
발제: 하홍규 HK연구교수2021년 8월 6일 크로아티아계 미국인 사회학자 스테판 메스트로비치(Stjepan Gabriel Meštrović)가 제시한 는 ‘지성화되고 조작되고, 대량생산된 기계적 감정이 지배하는 사회’를 말한다. 저자는 “탈감정사회는...
발제: 한의정 교수(충북대학교)2021년 7월 2일 프로이트는 「언캐니」(1919)에서 미학이 단순히 미(美) 개념, 아름답고 매력적인 감정과 그 대상들만 다룰 것이 아니라, 기괴함, 공포, 두려움의 감정과 그 발생 조건, 그리고 그것을 불러일으키는 ...
발제: 육성희 교수(영어영문학부)2021년 6월 4일출간 20주년을 기념하여 2017년에 재출간된 리처드 다이어(Richard Dyer)의 『화이트』(White)는 백인성 연구의 대표 저서로 백인(성)이 문화생산물에서 재현되는 방식을 탐색한다. 인종적...
발제: 이지형 교수(일본학과)2021년 5월 7일 5월 HK+월례세미나 텍스트, 킴 닐슨의 『장애의 역사』는 미국사 속 장애 문제의 변천사이다. 여기서 ‘장애’는 몰역사적이고 고정불변하는 개념이 아니며, 단순히 신체적 범주가 아니라 사회적 범...
발제: 임소연 HK연구교수2021년 4월 2일 이 책은 페미니스트 과학기술학자 다나 해러웨이의 대표작 두 편을 모아 제목 그대로 해러웨이 자체를 선언하는 듯한 의미를 담고 있다. 이 책에는 1985년 처음 발표되었던 <사이보그 선언문: ...
발제: 이진아 교수(한국어문학부)2021년 3월 5일『망명과 자긍심 - 교차하는 퀴어 장애 정치학』(원제 『Exile and Pride: Disability, Queerness, and Liberation)』)은 선천적 뇌병변 장애인, 젠더 퀴어, 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