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호 전체보기

  • 기획칼럼 |
    이름과 고향을 잃은 사람들
  • 콜로키움 |
    짱깨부터 똥남아까지, 근현대 한국인의 인종차별과 멸칭의 역사
  • 월례발표회 |
    32차 세미나 데리다의 동물 타자
    1차 월례발표회 부랑자 혐오의 계보학
    2차 월례발표회 홀로코스트에 대한 ‘포스트 기억세대’의 기억문화의 위기 혹은 전환
  • 학술성과 |
    인문한국플러스(HK+) 사업단 제10회 정기학술대회 성료
  • 공감인문학센터 |
    숙명인문학연구소 공감인문학센터
  • 연구소 소식 |
    콜로키움 및 월례발표회 일정 外 신임 학술연구교수 소개
숙명인문학연구소 HK+사업단 웹진
11호(2023년 7월)|
  • 11호(2023년 7월)
  • 10호(2023년 4월)
  • 9호(2023년 1월)
  • 8호(2022년 10월)
  • 7호(2022년 7월)
  • 6호(2022년 4월)
  • 5호(2022년 1월)
  • 4호(2021년 10월)
  • 3호(2021년 7월)
  • 2호(2021년 4월)
  • 창간호(2021년 1월)
  • 기획칼럼
  • 콜로키움
  • 월례발표회
  • 학술성과
  • 공감인문학센터
  • 연구소 소식
<포스트-혐오>
  • HOME
  • 공감인문학센터

공감인문학센터

숙명인문학연구소 공감인문학센터

글 : 신별 연구원숙명인문학연구소 공감인문학센터에서는 1학기를 마무리하며 본격적으로 2단계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다. 선사고등학교에서 진행한 <인문학특강>은 학생들의 기대 속에서 성공적으로 마무리 되었고, 6월부터 시작한 <같이가치공감...

숙명인문학연구소 공감인문학센터

2023년도 1학기를 맞이한 캠퍼스에는 우리 대학의 교화인 매화가 봄소식을 전하고 있다. 이번 학기는 특히 마스크 의무 착용이 해제되면서 쉽게 볼 수 없었던 학생들의 환한 웃음을 볼 수 있어 더욱더 활기차다. <포스트-혐오> 웹진 ...

숙명인문학연구소 공감인문학센터

올 겨울은 유독 매서운 추위가 기승을 부리고 있다. 안팎으로 몸과 마음이 움츠러드는 날들이지만 검은 토끼의 해라는 2023년에는 깡충깡충 뛰어다니는 토끼처럼 어려운 일들은 가뿐히 뛰어 넘으시고 즐겁고 행복한 일들만 가득하기를 기원 드리며 새해 복 많이...

숙명인문학연구소 공감인문학센터

2022년도 2학기부터 전면 대면 수업이 진행되고 있는 가운데 지난주에는 본교 축제인 “청파제”가 3년 만에 오프라인 방식으로 개최되었다. 코로나 2년간의 흔적을 모두 지울 수는 없었지만 캠퍼스 곳곳에서 축제를 만끽하는 숙명인들의 모습을 볼 수 있어 ...

숙명인문학연구소 공감인문학센터

숙명인문학연구소 공감인문학센터는 2022년 4월에 인문한국플러스 2차 연도 사업을 마무리 지었다. 2차 연도에는 <이달의 공감 읽기>, <같이 가치 공감학>, <미디어특강>. <용산 답사>, <둔지산 답...

숙명인문학연구소 공감인문학센터

대면 강의가 개시되면서 2022년도 1학기를 맞이한 우리대학 캠퍼스가 다시금 활력을 찾고 있다. ‘코로나시국’ 2년 사이에 온라인 강의 시행에 익숙해져서인지 북적거리는 캠퍼스가 반가우면서도 조금은 낯설게 느껴지기도 한다. <포스트-혐오> 6...

숙명인문학연구소 공감인문학센터

2022년 새해가 밝았다. 잡힐 듯 잡히지 않는 코로나19 상황 때문인지 연말연시 분위기가 한껏 가라앉은 느낌이다. 하지만 그럴수록 지나간 것은 잘 마무리 짓고, 새로운 것을 맞이하며 다시 한 번 힘찬 도약을 희망할 필요가 있다. <포스트-혐오&...

숙명인문학연구소 공감인문학센터

숙명인문학연구소 공감인문학센터는 2021년 5월부터 개시된 인문한국플러스 2차년도 사업을 열심히 수행 중이다. 현재 기획 및 진행 중인 프로그램들의 면면을 살펴보면 <혐오사회, 공감인문학> 독후감 공모전, <용산 속 식민지 역사를 기억...

숙명인문학연구소 공감인문학센터

숙명인문학연구소 공감인문학센터는 2021년 4월로 마무리된 인문한국플러스 1차 년도 사업에서 <미디어특강>과 <이 달의 공감 읽기> 그리고 <같이가치 공감학> 강연 시리즈를 통해 총 50여 개의 강좌를 진행하였다. 5월...

숙명인문학연구소 공감인문학센터

숙명인문학연구소 공감인문학센터는 코로나19 상황으로 인해 현장 대면 강의가 여의치 않은 상황 속에서도 유튜브 채널을 통해 강의 영상을 송출하는 비대면 방식으로 대중강연을 이어가고 있다. 공감인문학센터에서 진행 중인 강연 소식과 함께 오는 4월 인문한국...

숙명인문학연구소 공감인문학센터

숙명여자대학교 인문학연구소는 올해 5월 한국연구재단의 “2020년 인문한국플러스(HK+) 지원 사업”에 선정되었다. 인문학연구소는 인문한국지원사업을 통해 매년 12억 원, 향후 7년간 총 84억 원을 지원받는다. 숙명인문학연구소는 <혐오...

숙명인문학연구소

공감인문학센터

Copyright © 2020 숙명인문학연구소 HK+사업단 웹진 <포스트-혐오>.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