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호 전체보기

  • 기획칼럼 |
    탈원전과 혐오
  • 콜로키움 |
    노인에 대한 부정적 인식: 혐오와 차별
  • 세미나 |
    19차 세미나 기계비평들
    20차 세미나 시설사회
    18차 세미나 문화사회학 관점에서 바라본 한국의 세대 연대기
  • 학술성과 |
    2022년 6월 17일 - 정기학술대회 개최 外
  • 공감인문학센터 |
    숙명인문학연구소 공감인문학센터
  • 연구소 소식 |
    콜로키움 및 월례세미나 일정 外
숙명인문학연구소 HK+사업단 웹진
6호(2022년 4월)|
  • 6호(2022년 4월)
  • 5호(2022년 1월)
  • 4호(2021년 10월)
  • 3호(2021년 7월)
  • 2호(2021년 4월)
  • 창간호(2021년 1월)
  • 기획칼럼
  • 콜로키움
  • 세미나
  • 학술성과
  • 공감인문학센터
  • 연구소 소식
<포스트-혐오>
  • HOME
  • 공감인문학센터

공감인문학센터

숙명인문학연구소 공감인문학센터

대면 강의가 개시되면서 2022년도 1학기를 맞이한 우리대학 캠퍼스가 다시금 활력을 찾고 있다. ‘코로나시국’ 2년 사이에 온라인 강의 시행에 익숙해져서인지 북적거리는 캠퍼스가 반가우면서도 조금은 낯설게 느껴지기도 한다. <포스트-혐오> 6...

숙명인문학연구소 공감인문학센터

2022년 새해가 밝았다. 잡힐 듯 잡히지 않는 코로나19 상황 때문인지 연말연시 분위기가 한껏 가라앉은 느낌이다. 하지만 그럴수록 지나간 것은 잘 마무리 짓고, 새로운 것을 맞이하며 다시 한 번 힘찬 도약을 희망할 필요가 있다. <포스트-혐오&...

숙명인문학연구소 공감인문학센터

숙명인문학연구소 공감인문학센터는 2021년 5월부터 개시된 인문한국플러스 2차년도 사업을 열심히 수행 중이다. 현재 기획 및 진행 중인 프로그램들의 면면을 살펴보면 <혐오사회, 공감인문학> 독후감 공모전, <용산 속 식민지 역사를 기억...

숙명인문학연구소 공감인문학센터

숙명인문학연구소 공감인문학센터는 2021년 4월로 마무리된 인문한국플러스 1차 년도 사업에서 <미디어특강>과 <이 달의 공감 읽기> 그리고 <같이가치 공감학> 강연 시리즈를 통해 총 50여 개의 강좌를 진행하였다. 5월...

숙명인문학연구소 공감인문학센터

숙명인문학연구소 공감인문학센터는 코로나19 상황으로 인해 현장 대면 강의가 여의치 않은 상황 속에서도 유튜브 채널을 통해 강의 영상을 송출하는 비대면 방식으로 대중강연을 이어가고 있다. 공감인문학센터에서 진행 중인 강연 소식과 함께 오는 4월 인문한국...

숙명인문학연구소 공감인문학센터

숙명여자대학교 인문학연구소는 올해 5월 한국연구재단의 “2020년 인문한국플러스(HK+) 지원 사업”에 선정되었다. 인문학연구소는 인문한국지원사업을 통해 매년 12억 원, 향후 7년간 총 84억 원을 지원받는다. 숙명인문학연구소는 <혐오...

숙명인문학연구소

공감인문학센터

Copyright © 2020 숙명인문학연구소 HK+사업단 웹진 <포스트-혐오>.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