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사 : 정 희 진(여성학 박사, 前이화여대 초빙교수, [정희진의 공부] 편집장)◎ 당신의 주장은 페미니즘이 맞습니까?* 『페미니즘의 도전』(2005)이 ‘입문서’라면, 『다시, 페미니즘의 도전』(2023)은 지난 18년간 페미니즘과 신자유주의의 관계...
최 진 석(서울과학기술대학교) 감응의 시대가 도래했다지금 한국의 지식사회에는 하나의 유령이 떠돌고 있다. 감응(affect 感應)이라는 유령이. 정동(情動), 정서(情緖), 혹은 또 다른 단어들로 다양하게 번역되는 감응은 스피노자-들뢰즈의 사...
이동신(서울대학교 영어영문학과)동물연구와 포스트휴머니즘의 조합을 통해 인간-동물 관계를 새로이 고민하고, 기존의 인간중심주의적 세계에서 탈피하는 방법을 탐구하는 연구 과정의 하나로 준비된 본 강연은 다음 세 가지 질문을 던지며 시작한다.1. 우리는 ...
연사: 김도현 연구활동가(노들장애학궁리소)현재 우리나라에서 소수자 문제와 관련하여 쓰이고 있는 ‘혐오’라는 기표(記標)는 결코 간단히 정의될 수 있는 개념은 아니지만 “사회적 소수자에 대한 편견이나 차별 이데올로기가 모종의 ‘적의(hostility)’...
연사 : 정회옥 교수 (명지대학교 정치외교학과 ) 한국인에게는 인종 콤플렉스가 있다. 인종 이야기가 대화의 주제로 나오는 것을 꺼려하고, 사람들을 인종적으로 위계화시키며, 인종적으로 열등하다 생각되는 집단을 멸시하며 반대로 인종적으로 우월하다...
연사 : 김만권 교수 (경희대 학술연구교수·정치철학자) 21세기에 본격적으로 가속화된 디지털 기술의 발전은 사회적 분배의 양극화를 심화하고 있다. 디지털 기술 그 자체에 양극화 분배를 하는 속성이 있기 때문이다. 지배적인 기술이 빨리 발전할...
연사 : 이광석 교수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디지털문화정책 학과) 본 강연은 오늘날 우리 사회를 ‘기술 폭식 사회’로 규정한다. 기술 폭식 사회는 한마디로 성장과 발전 욕망으로 인해 포만감을 모르는 후기 자본주의 체제의 특징이 되고 그 욕망을 ...
연사 : 김관욱 교수(덕성여대 문화인류학과)콜센터 상담사는 감정노동자의 대표적 사례로 알려져 있다. 그렇지만, 상담사가 마주하는 현실은 단순한 감정 ‘이상의’ 노동 현장이다. 특히, 코로나19 시기 비대면 업무가 급증하면서 상담사의 업무량 또한 급증하...
연사: 허윤 교수(부경대학교 국어국문학과)조선의 근대문학은 아버지를 죽이지 못한 아들들의 가족 로망스에서 출발한다. 조선의 청년들은 아버지와 대결할 기회를 빼앗겼다. 제국 일본이 등장했기 때문이다. 이들은 아버지를 제거하기는커녕 아버지와 함께 거세된다...
연사: 김주현 교수(충남대학교 사회학과)한국의 노년은 지금까지 경로효친이라는 전통적이고 견고한 사회적 가치에 둘러싸여 구성되어 왔으나, 현재 한국 사회 내부에서는 그와 같은 전통적 가치체계에 공감하지 않은 지 오래되었다. 오히려 노인 집단에 대한 부정...
사회학자 어빙 고프먼(Erving Goffman)이 공공 생활의 장(the field of public life)이라고 불렀던 활동 영역은 대면적 상호작용에 의해 산출되며 ‘함께 어울림의 규범’에 의해 조직된다. 이 장은 우정이나 친숙성과 같은 지배적...
혐오라는 말이 한국에서 본격적으로 회자되기 시작한 것은 2010년 이후이다. 그전에는 혐오시설이나 혐오식품같이 일상적 의미에서 ‘매우 싫어한다’는 뜻으로 혐오라는 말이 사용되었지만, 2010년 이후부터는 혐오표현, 혐오범죄 등과 같이 특정 집단에 대한...
이번 발표에서는 유튜브 중심의 개인방송에서 급증하고 있는 혐오콘텐츠의 현황, 원인, 특징을 분석하고 이에 대한 대안을 함께 모색해보았다. 개인방송은 기존 전문가 중심의 방송제작과는 달리 방송내용이나 전달형식에 얽매이지 않고 제작자의 창의력을 마음대로 ...
이 발표는 전 세계적인 범위에서 소수자 집단(minorities)을 향한 혐오 표현이 날로 확산되는 상황 속 그것의 개념과 등장 과정, 그리고 미디어와 혐오 표현의 관련 양상에 대하여 검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오늘날 한국 사회에서 관찰되는 혐오 ...
본 강의에서는 성폭력 사건의 피해자에게 사회적 편견에 근거해 전형적 혹은 일반적인 반응, 심지어는 피해자로서의 이상적인 행태를 기대 혹은 요구하는 ‘피해자다움’이라는 신화(myths)에 대해 고찰한다. 나아가 성폭력 피해자를 바라보는 시선에 있어서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