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제: 김혜진 (HK 연구교수)홀로코스트는 기록이 잘 남아 있는 대량 학살 사건이다. 그러나 부정, 왜곡, 경시가 자주 이슈화되는 것 또한 홀로코스트일 것이다. 물론 특정한 공적, 사적 영역에서 쇼아 Shoah, 아우슈비츠로도 불리는 홀로코스트가 불편...
발제: 예지숙 (HK 연구교수) ‘일정한 직업이나 거주가 없는 사람’이라는 정의는 사실상 부랑인이 누구인지 알 수 없게 만드는 곤경에 빠지게 하는데, 이 글에서는 1930년대의 시기적 상황 속에서 대두된 빈곤문제를 중심으로 부랑인을 파악하고 이에 대...
발제 : 한의정(충북대 조형예술학과) 이 책은 세 가지 관점에서 혐오연구에 시사점이 있다. 첫째, 인류역사를 관통하며 비인간 타자로서 멸시와 혐오의 대상이었던 동물에 관한 논의라는 점이다. 둘째, 동물권을 주장하는 동물해방론자들과는 사뭇 다른 (철학...
발제: 김지영(HK교수) ‘혐오’는 최근 10년 동안 한국 사회에서 가장 뜨겁게 논쟁이 되어 온 키워드이다. 이 책의 새로운 시도는 ‘혐오’와 ‘문화다양성’이라는 각기 다른 맥락에서 논의가 진행되어 온 두 개념 사이의 상호연관성을 검토하고, 두 논의...
발제: 유수정 (HK 연구교수) 2023년 1월 6일(금) 오후 3시에 ‘제30차 숙명인문학연구소 HK+아젠다 연구 월례 세미나’가 개최되었다. 1월 월례 세미나에는 총 23명이 비대면으로 참여하였다. 제30차 월례 세미나는 매슈 윌리엄스의 저서 『...
발제 : 정경수(법학부 교수)2022.12.02현대사회에서 인간은 이성적으로 사고하고 행동하는가? 현실에서는 감정의 소용돌이에 휘둘리는 많은 사람을 접하게 된다. 또한 감정이 앞서는 자기 자신도 발견하게 된다. 심리학적 연구를 활용한 대중적...
발제 : 이지선(HK 연구교수)2022.11.04 저자 이광석은 서울과학기술대학교 IT정책전문대학원 교수다. 90 년대 중반부터 기술문화연구, 커먼즈, 플랫폼 노동, 기술 생태정치학, 자동화사회 등을 연구해 왔다. 비판적 문화이론 저널 『문화/과학』의...
발제 : 이지형(일본학 교수)2022.10.07 이 책은 후쿠시마 원전 사고를 화두로 근대 산업국가 일본의 공해 문제를 계보적으로 살피고 이를 바탕으로 ‘탈원전’의 주장을 펼친다. HK월례세미나 텍스트로 이 책을 선정한 이유는 ‘탈원전’의 ...
발제: 박인찬 연구소장/영어영문학부 교수2022.07.01요즘 우리나라에서 과학소설의 인기가 치솟는 것은 더 이상 놀랄 일이 아니다. 정작 놀라운 것은 얼마 전까지만 해도 과학소설을 멀리하던 젊은 여성들이 주요 독자라는 점이다. 남성 작가 중심이던...
발제: 심재웅 미디어학부 교수2022.08.12미디어를 통해 전달되는 장애인의 모습은 어떠한가? 미디어 산업에서 장애인의 위치와 그들의 미디어 노동은 어떠한가? 미디어 속에서 그려지는 장애인은 대부분 부정적이며 차별적인 고정관념이 지배적이다...
발제: 이승훈 기초교양학부 교수2022.09.02베르브너의 「혐오 없는 삶」은 타자에 대한 혐오가 극복되었던 다양한 사례를 소개하면서, 현대 사회에서의 혐오 문제를 극복할 수 있는 실제적인 대안을 제시하고 있다. 고든 올포트는 「편견」이라는 책...
발제: 박지선 교수(사회심리학과)2022년 4월 1일 복합적인 21세기 혐오의 문제는 문화인류학, 철학, 심리학, 법학, 언론정보학, 사학 등 여러 학문 영역을 가로질러 폭넓은 접근이 필요하다. 불확실성을 해소하기 위해 자기 집단에 과잉의존하...
발제: 김경옥 HK연구교수2022년 5월 6일 『상호교차성』(Intersectionality, 2016)은 1980년대 이후 미국사회와 학계에서 활발하게 논의되어온 상호교차성의 역사적 기원과 중심 개념을 설명하고 있다. 저자 패트리샤 힐 콜린스(Pat...
발제: 정현규 교수(독일언어문화학과)2022년 6월 3일주디스 버틀러는 연대하는 신체들과 거리의 정치에서 현시대를 신자유주의적 자립과 개인의 책임이 무자비하게 강조되는 시대이며, 이로 인해 취약성과 불안정성이 무한정 재생산되는 시대라고 진단하고 있다....
발제: 이행미 HK연구교수2022년 3월 4일 『시설사회: 시설화된 장소, 저항하는 몸들』은 한국 사회의 정상성에 의해 배제되고 혐오스러운 존재가 된 다양한 주체들의 목소리를 담고 있으며, 이 다양한 얼굴들을 ‘시설화’라는 관점에서 교차적으로 살펴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