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호 전체보기

  • 기획칼럼 |
    돈과 재미, 그리고 혐오 사이
  • 콜로키움 |
    ‘다문화’라는 거짓말: 한국의 이민 정책‧담론과 인종기획
  • 월례발표회 |
    22차 월례발표회 공해병 문학의 혐오 대응에 관한 내재적 고찰 -이시무레 미치코(石牟礼道子)의 미나마타병 소설을 중심으로-
    21차 월례발표회 인공지능 활용 작품의 권리와 책임 문제
  • 학술성과 |
    『거부당한 몸과 공존의 사유』 HK+사업단 총서 출판 및 정기학술대회 성료
  • 공감인문학센터 |
    숙명인문학연구소 공감인문학센터
  • 연구소 소식 |
    콜로키움/월례발표회 일정안내
숙명인문학연구소 HK+사업단 웹진
19호(2025년 7월)|
  • 19호(2025년 7월)
  • 18호(2025년 4월)
  • 17호(2025년 1월)
  • 16호(2024년 10월)
  • 15호(2024년 7월)
  • 14호(2024년 4월)
  • 13호(2024년 1월)
  • 12호(2023년 10월)
  • 11호(2023년 7월)
  • 10호(2023년 4월)
  • 9호(2023년 1월)
  • 8호(2022년 10월)
  • 7호(2022년 7월)
  • 6호(2022년 4월)
  • 5호(2022년 1월)
  • 4호(2021년 10월)
  • 3호(2021년 7월)
  • 2호(2021년 4월)
  • 창간호(2021년 1월)
  • 기획칼럼
  • 콜로키움
  • 월례발표회
  • 학술성과
  • 공감인문학센터
  • 연구소 소식
<포스트-혐오>
  • HOME
  • 월례발표회

월례발표회

7차 월례발표회
들뢰즈-과타리의 ‘연합 환경’ 개념 ― 생태적 전환을 위한 새로운 환경 개념을 찾아서

발제 : 경혜영 (HK연구교수)비인간 혐오 분과에서는 현재 인류세 및 AI에 관한 연구를 진행 중이다. 본 연구는 그중에서도 인류세와 관련하여 비인간 혐오가 일어나는 지점들을 살펴보고, 이와 연관되는 인간중심적인 환경(Environment) ...

6차 월례 발표회
한국사회 장애혐오 담론 연구

발제 : 강미영(HK교수)본 연구는 한국사회가 장애를 바라보는 방식과 담론이 형성되고 작동되는 방식을 조명함으로써 한국사회에 깊게 뿌리 내린 정상성 이데올로기와 장애차별주의에 의해 장애인이 차별과 혐오의 대상이 되는 과정을 분석한다. 첫째, 장애가 한...

5차 월례 발표회
동일성과 차이, 그리고 고양된 감정

발제 : 박승억(숙명여대 기초교양학부)오늘날 타인에게, 혹은 타자에게 좀 더 포용적이고 개방적이어야 한다는 것은 시대의 요구다. 반면, 우리 주변의 위험은 날로 커지는 것으로 보인다. 증오 범죄는 끊이지 않고, 테러와 군사적 분쟁도 쉼이 없다. 경제 ...

4차 월례발표회
잔향을 듣다: 현대 일본 사회의 혐오 현상과 관동대지진 조선인 학살의 기억

발제: 김지영 (HK교수)  2023년은 관동대지진으로부터 100년을 맞는 해이다. 1923년 9월 1일 도쿄와 요코하마를 중심으로 한 관동지역을 강타한 매그니튜드 7.9규모의 강진과 그로 인한 화재는 사망자 약 91,344명, 행방불명자 1...

3차 월례발표회
다시 찾은 ‘언캐니 밸리’: 시몬 스톨렌하그의 『일렉트릭 스테이트』에 나타난 포스트휴먼 묵시록

발제: 박인찬 (인문학연구소 소장) 브뤼노 라투르의 논문 「네 괴물을 사랑하라: 왜 우리는 우리의 과학기술을 자식처럼 돌봐야 하는가」(2012)는 메리 셸리의 소설 『프랑켄슈타인』(1818)의 진정한 주제는 우리와 떼어 놓을 수 없는 과학기술을 자식처...

2차 월례발표회
홀로코스트에 대한 ‘포스트 기억세대’의 기억문화의 위기 혹은 전환

발제: 김혜진 (HK 연구교수)홀로코스트는 기록이 잘 남아 있는 대량 학살 사건이다. 그러나 부정, 왜곡, 경시가 자주 이슈화되는 것 또한 홀로코스트일 것이다. 물론 특정한 공적, 사적 영역에서 쇼아 Shoah, 아우슈비츠로도 불리는 홀로코스트가 불편...

1차 월례발표회
부랑자 혐오의 계보학

발제: 예지숙 (HK 연구교수)  ‘일정한 직업이나 거주가 없는 사람’이라는 정의는 사실상 부랑인이 누구인지 알 수 없게 만드는 곤경에 빠지게 하는데, 이 글에서는 1930년대의 시기적 상황 속에서 대두된 빈곤문제를 중심으로 부랑인을 파악하고 이에 대...

32차 세미나
데리다의 동물 타자

발제 : 한의정(충북대 조형예술학과)  이 책은 세 가지 관점에서 혐오연구에 시사점이 있다. 첫째, 인류역사를 관통하며 비인간 타자로서 멸시와 혐오의 대상이었던 동물에 관한 논의라는 점이다. 둘째, 동물권을 주장하는 동물해방론자들과는 사뭇 다른 (철학...

31차 세미나
차별과 혐오를 넘어서

발제: 김지영(HK교수)  ‘혐오’는 최근 10년 동안 한국 사회에서 가장 뜨겁게 논쟁이 되어 온 키워드이다. 이 책의 새로운 시도는 ‘혐오’와 ‘문화다양성’이라는 각기 다른 맥락에서 논의가 진행되어 온 두 개념 사이의 상호연관성을 검토하고, 두 논의...

30차 세미나
혐오의 과학

발제: 유수정 (HK 연구교수) 2023년 1월 6일(금) 오후 3시에 ‘제30차 숙명인문학연구소 HK+아젠다 연구 월례 세미나’가 개최되었다. 1월 월례 세미나에는 총 23명이 비대면으로 참여하였다.  제30차 월례 세미나는 매슈 윌리엄스의 저서 『...

29차 세미나
감정이 지배하는 사회

발제 :  정경수(법학부 교수)2022.12.02현대사회에서 인간은 이성적으로 사고하고 행동하는가? 현실에서는 감정의 소용돌이에 휘둘리는 많은 사람을 접하게 된다. 또한 감정이 앞서는 자기 자신도 발견하게 된다. 심리학적 연구를 활용한 대중적...

28차 세미나
피지털 커먼즈 : 플랫폼 인클로저에 맞서는 기술생태 공통장

발제 : 이지선(HK 연구교수)2022.11.04 저자 이광석은 서울과학기술대학교 IT정책전문대학원 교수다. 90 년대 중반부터 기술문화연구, 커먼즈, 플랫폼 노동, 기술 생태정치학, 자동화사회 등을 연구해 왔다. 비판적 문화이론 저널 『문화/과학』의...

27차 세미나
탈원전의 철학

발제 : 이지형(일본학 교수)2022.10.07  이 책은 후쿠시마 원전 사고를 화두로 근대 산업국가 일본의 공해 문제를 계보적으로 살피고 이를 바탕으로 ‘탈원전’의 주장을 펼친다. HK월례세미나 텍스트로 이 책을 선정한 이유는 ‘탈원전’의 ...

24차 세미나
천 개의 파랑

발제: 박인찬 연구소장/영어영문학부 교수2022.07.01요즘 우리나라에서 과학소설의 인기가 치솟는 것은 더 이상 놀랄 일이 아니다. 정작 놀라운 것은 얼마 전까지만 해도 과학소설을 멀리하던 젊은 여성들이 주요 독자라는 점이다. 남성 작가 중심이던...

25차 세미나
장애와 미디어

발제: 심재웅 미디어학부 교수2022.08.12미디어를 통해 전달되는 장애인의 모습은 어떠한가? 미디어 산업에서 장애인의 위치와 그들의 미디어 노동은 어떠한가? 미디어 속에서 그려지는 장애인은 대부분 부정적이며 차별적인 고정관념이 지배적이다...

  • 1
  • 2
  • 3
  • 4

숙명인문학연구소

공감인문학센터

Copyright © 2020 숙명인문학연구소 HK+사업단 웹진 <포스트-혐오>.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