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호 전체보기

  • 기획칼럼 |
    당신은 지금 어디에 서 있습니까
  • 콜로키움 |
    모두를 위한 의료와 보살피는 삶의 인류학
  • 월례발표회 |
    23차 월례발표회 동정과 연민, ‘병리화’의 안과 밖 , 1950년대 부랑아라는 존재
    24차 월례발표회 “나는 보편적이고 중립적인 관객이에요”라는 말 : 우리 안의 인종주의
  • 학술성과 |
    일본 나고야대학과의 국제 공동 심포지엄 성료
  • 공감인문학센터 |
    숙명인문학연구소 공감인문학센터
  • 연구소 소식 |
    2025년 인문한국플러스사업단 하계워크숍 성료 및 콜로키움/국제학술대회 일정 外
숙명인문학연구소 HK+사업단 웹진
20호(2025년 10월)|
  • 20호(2025년 10월)
  • 19호(2025년 7월)
  • 18호(2025년 4월)
  • 17호(2025년 1월)
  • 16호(2024년 10월)
  • 15호(2024년 7월)
  • 14호(2024년 4월)
  • 13호(2024년 1월)
  • 12호(2023년 10월)
  • 11호(2023년 7월)
  • 10호(2023년 4월)
  • 9호(2023년 1월)
  • 8호(2022년 10월)
  • 7호(2022년 7월)
  • 6호(2022년 4월)
  • 5호(2022년 1월)
  • 4호(2021년 10월)
  • 3호(2021년 7월)
  • 2호(2021년 4월)
  • 창간호(2021년 1월)
  • 기획칼럼
  • 콜로키움
  • 월례발표회
  • 학술성과
  • 공감인문학센터
  • 연구소 소식
<포스트-혐오>
기획칼럼

당신은 지금 어디에 서 있습니까

이진아(숙명여대 한국어문학부 교수)지난여름 연구소 워크숍의 일환으로 제주대학교 탐라문화원의 ‘쿰다 인문학’에 대한 강의를 들을 기회가 있었다. ‘쿰다’는 제주 말로 ‘품다’라는 의미라 했다. ‘드르쌍 내분다’ 즉 간섭하지 않고 내버려두고 살아가면서, 벗도 되고 궨당(괸당, 친인척, 이웃, 연(緣))도 되어 가며 ‘드르쿰는다’는 의...

기획칼럼

당신은 지금 어디에 서 있습니까

이진아(숙명여대 한국어문학부 교수)지난여름 연구소 워크숍의 일환으로 제주대학교 탐라문화원의 ‘쿰다 인문학’에 대한 강의를 들을 기회가 있었다. ‘쿰다’는 제주 말로 ‘품다’라는 의...

학술성과

일본 나고야대학과의 국제 공동 심포지엄 성료

 ■ 일본 나고야대학과의 국제 공동 심포지엄 성료숙명인문학연구소는 지난 2025년 7월 26일(토)에 일본 나고야대학에서 숙명여자대학교·나고야대학교 공동 개최 국제 심포지엄 <공생과 공존을 위한 상상력>을 개최했다.숙명인문학연구소와 나고야대학 인문학연구과 초역문화사회센터(TCS) 사이에 체결된 MOU에...

콜로키움

모두를 위한 의료와
보살피는 삶의 인류학

서보경(연세대학교 문화인류학과)  인문한국플러스사업단의 제21회 콜로키움에서는 〈모두를 위한 의료와 보살피는 삶의 인류학〉을 주제로 연세대학교 문화인류학과 서보경 교수의 특강이 진...

연구소 소식

2025년 인문한국플러스사업단 하계워크숍 성료 및 콜로키움/국제학술대회 일정 外

● 숙명인문학연구소 인문한국(HK+) 사업단은 [기억, 생태, 타자와의 공존을 위한 현장실천: 제주에서 혐오를 넘어 연대를 모색하다] 라는 주제로 2025년 8월 제주시 서귀포시 ...

공감인문학센터

숙명인문학연구소 공감인문학센터

글: 신별 연구원숙명인문학연구소 공감인문학센터에서는 2학기를 맞이하여 9월 영화제를 시작으로 다양한 주제의 인문강좌가 진행되고 있다. 12월까지 다양한 주제의 인문강좌가 준비되어 ...

콜로키움

모두를 위한 의료와
보살피는 삶의 인류학

서보경(연세대학교 문화인류학과)  인문한국플러스사업단의 제21회 콜로키움에서는 〈모두를 위한 의료와 보살피는 삶의 인류학〉을 주제로 연세대학교 문화인류학과 서보경 교수의 특강이 진...

학술성과

일본 나고야대학과의 국제 공동 심포지엄 성료

 ■ 일본 나고야대학과의 국제 공동 심포지엄 성료숙명인문학연구소는 지난 2025년 7월 26일(토)에 일본 나고야대학에서 숙명여자대학교·나고야대학교 공동 개최 국제 심포지...

공감인문학센터

숙명인문학연구소 공감인문학센터

글: 신별 연구원숙명인문학연구소 공감인문학센터에서는 2학기를 맞이하여 9월 영화제를 시작으로 다양한 주제의 인문강좌가 진행되고 있다. 12월까지 다양한 주제의 인문강좌가 준비되어 ...

연구소 소식

2025년 인문한국플러스사업단 하계워크숍 성료 및 콜로키움/국제학술대회 일정 外

● 숙명인문학연구소 인문한국(HK+) 사업단은 [기억, 생태, 타자와의 공존을 위한 현장실천: 제주에서 혐오를 넘어 연대를 모색하다] 라는 주제로 2025년 8월 제주시 서귀포시 ...

월례발표회

24차 월례발표회
“나는 보편적이고 중립적인 관객이에요”라는 말
: 우리 안의 인종주의

23차 월례발표회
동정과 연민, ‘병리화’의 안과 밖 , 1950년대 부랑아라는 존재

숙명인문학연구소

공감인문학센터

Copyright © 2020 숙명인문학연구소 HK+사업단 웹진 <포스트-혐오>.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