혐오라는 말이 한국에서 본격적으로 회자되기 시작한 것은 2010년 이후이다. 그전에는 혐오시설이나 혐오식품같이 일상적 의미에서 ‘매우 싫어한다’는 뜻으로 혐오라는 말이 사용되었지만, 2010년 이후부터는 혐오표현, 혐오범죄 등과 같이 특정 집단에 대한...
이번 발표에서는 유튜브 중심의 개인방송에서 급증하고 있는 혐오콘텐츠의 현황, 원인, 특징을 분석하고 이에 대한 대안을 함께 모색해보았다. 개인방송은 기존 전문가 중심의 방송제작과는 달리 방송내용이나 전달형식에 얽매이지 않고 제작자의 창의력을 마음대로 ...
이 발표는 전 세계적인 범위에서 소수자 집단(minorities)을 향한 혐오 표현이 날로 확산되는 상황 속 그것의 개념과 등장 과정, 그리고 미디어와 혐오 표현의 관련 양상에 대하여 검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오늘날 한국 사회에서 관찰되는 혐오 ...
본 강의에서는 성폭력 사건의 피해자에게 사회적 편견에 근거해 전형적 혹은 일반적인 반응, 심지어는 피해자로서의 이상적인 행태를 기대 혹은 요구하는 ‘피해자다움’이라는 신화(myths)에 대해 고찰한다. 나아가 성폭력 피해자를 바라보는 시선에 있어서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