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호 전체보기

  • 기획칼럼 |
    돈과 재미, 그리고 혐오 사이
  • 콜로키움 |
    ‘다문화’라는 거짓말: 한국의 이민 정책‧담론과 인종기획
  • 월례발표회 |
    21차 월례발표회 인공지능 활용 작품의 권리와 책임 문제
    22차 월례발표회 공해병 문학의 혐오 대응에 관한 내재적 고찰 -이시무레 미치코(石牟礼道子)의 미나마타병 소설을 중심으로-
  • 학술성과 |
    『거부당한 몸과 공존의 사유』 HK+사업단 총서 출판 및 정기학술대회 성료
  • 공감인문학센터 |
    숙명인문학연구소 공감인문학센터
  • 연구소 소식 |
    콜로키움/월례발표회 일정안내
숙명인문학연구소 HK+사업단 웹진
19호(2025년 7월)|
  • 19호(2025년 7월)
  • 18호(2025년 4월)
  • 17호(2025년 1월)
  • 16호(2024년 10월)
  • 15호(2024년 7월)
  • 14호(2024년 4월)
  • 13호(2024년 1월)
  • 12호(2023년 10월)
  • 11호(2023년 7월)
  • 10호(2023년 4월)
  • 9호(2023년 1월)
  • 8호(2022년 10월)
  • 7호(2022년 7월)
  • 6호(2022년 4월)
  • 5호(2022년 1월)
  • 4호(2021년 10월)
  • 3호(2021년 7월)
  • 2호(2021년 4월)
  • 창간호(2021년 1월)
  • 기획칼럼
  • 콜로키움
  • 월례발표회
  • 학술성과
  • 공감인문학센터
  • 연구소 소식
<포스트-혐오>
  • HOME
  • 콜로키움

콜로키움

혐오 개념의 계보학

혐오라는 말이 한국에서 본격적으로 회자되기 시작한 것은 2010년 이후이다. 그전에는 혐오시설이나 혐오식품같이 일상적 의미에서 ‘매우 싫어한다’는 뜻으로 혐오라는 말이 사용되었지만, 2010년 이후부터는 혐오표현, 혐오범죄 등과 같이 특정 집단에 대한...

개인방송 속의 혐오와 공감 리터러시

이번 발표에서는 유튜브 중심의 개인방송에서 급증하고 있는 혐오콘텐츠의 현황, 원인, 특징을 분석하고 이에 대한 대안을 함께 모색해보았다. 개인방송은 기존 전문가 중심의 방송제작과는 달리 방송내용이나 전달형식에 얽매이지 않고 제작자의 창의력을 마음대로 ...

미디어와 혐오표현

이 발표는 전 세계적인 범위에서 소수자 집단(minorities)을 향한 혐오 표현이 날로 확산되는 상황 속 그것의 개념과 등장 과정, 그리고 미디어와 혐오 표현의 관련 양상에 대하여 검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오늘날 한국 사회에서 관찰되는 혐오 ...

피해자를 바라보는 시선, 그 혐오와 폭력

본 강의에서는 성폭력 사건의 피해자에게 사회적 편견에 근거해 전형적 혹은 일반적인 반응, 심지어는 피해자로서의 이상적인 행태를 기대 혹은 요구하는 ‘피해자다움’이라는 신화(myths)에 대해 고찰한다. 나아가 성폭력 피해자를 바라보는 시선에 있어서의 ...

  • 1
  • 2

숙명인문학연구소

공감인문학센터

Copyright © 2020 숙명인문학연구소 HK+사업단 웹진 <포스트-혐오>.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