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제: 박승억 교수(기초교양학부)2021년 11월 5일 이 책, 『나는 에이지즘에 반대한다This Chair Rocks: A Manifesto against Ageism』(A.Applewhite 저, 이은진 역, 시공사, 2016)는 미국 사...
발제: 신하경 교수(일본학과)2021년 10월 1일 ○ 책의 선정 이유현재 ‘교차성’(intersectionality) 개념은 인종주의와 젠더뿐 아니라, 섹슈얼리티나 계급, 민족성, 환경 그리고 이 책의 주제인 장애와 동물 등 다양한 사회적 억압과 관...
발제: 전경숙 HK연구교수2021년 9월 3일소수자의 역사는 차별과 배제의 역사인 동시에 사람다움을 지켜주는 인권의 역사이자 각기 다른 삶을 포용하는 다양성의 역사이다. 『보이지 않은 역사-한국 시각장애인들의 저항과 연대』는 사회적 약자 집단...
발제: 하홍규 HK연구교수2021년 8월 6일 크로아티아계 미국인 사회학자 스테판 메스트로비치(Stjepan Gabriel Meštrović)가 제시한 는 ‘지성화되고 조작되고, 대량생산된 기계적 감정이 지배하는 사회’를 말한다. 저자는 “탈감정사회는...
발제: 한의정 교수(충북대학교)2021년 7월 2일 프로이트는 「언캐니」(1919)에서 미학이 단순히 미(美) 개념, 아름답고 매력적인 감정과 그 대상들만 다룰 것이 아니라, 기괴함, 공포, 두려움의 감정과 그 발생 조건, 그리고 그것을 불러일으키는 ...
발제: 육성희 교수(영어영문학부)2021년 6월 4일출간 20주년을 기념하여 2017년에 재출간된 리처드 다이어(Richard Dyer)의 『화이트』(White)는 백인성 연구의 대표 저서로 백인(성)이 문화생산물에서 재현되는 방식을 탐색한다. 인종적...
발제: 이지형 교수(일본학과)2021년 5월 7일 5월 HK+월례세미나 텍스트, 킴 닐슨의 『장애의 역사』는 미국사 속 장애 문제의 변천사이다. 여기서 ‘장애’는 몰역사적이고 고정불변하는 개념이 아니며, 단순히 신체적 범주가 아니라 사회적 범...
발제: 임소연 HK연구교수2021년 4월 2일 이 책은 페미니스트 과학기술학자 다나 해러웨이의 대표작 두 편을 모아 제목 그대로 해러웨이 자체를 선언하는 듯한 의미를 담고 있다. 이 책에는 1985년 처음 발표되었던 <사이보그 선언문: ...
발제: 이진아 교수(한국어문학부)2021년 3월 5일『망명과 자긍심 - 교차하는 퀴어 장애 정치학』(원제 『Exile and Pride: Disability, Queerness, and Liberation)』)은 선천적 뇌병변 장애인, 젠더 퀴어, 페...
발제: 유수정 인문학연구소 연구교수2021년 2월 5일본서는 총 6장으로 이루어졌으며 이번 세미나에서는 1장, 3장, 4장을 중심으로 발제하였다.이 책의 저자 박정수는 ‘수유너머’에서 생활하며 프로이트, 푸코, 들뢰즈에 대한 연구와 번역을 하고, 20...
발제: 박인찬 교수(인문학연구소 소장)2021년 1월 8일혐오에 관한 대표 연구서 중 하나로 꼽히는 엠케의 『혐오사회』는 혐오의 전파부터 대응까지 현대사회에서의 혐오 혹은 증오의 문제를 총체적으로 진단한다. 혐오는 사회적으로 형성된 감정이며 ...
발제: 안지나 HK연구교수2020년 12월 4일시노다 세츠코(篠田節子)의 소설 『장녀들(長女たち)』은 초고령 사회에서 비혼 여성들이 직면하는 돌봄 노동의 고통을 그린 중단편집이다. 비혼 여성의 돌봄 노동이 죄책감과 애정을 통해 가족 사이에서 드러나지 ...
발제: 이승훈 교수(기초교양학부)2020년 11월 6일말은 어떻게 상처를 입히는가? 혐오 발언은 표현의 영역에 속하는 것이므로 법으로 규제할 수 없다는 의견이 있다. 잘못된 발언이라 할지라도, 법적 규제는 표현의 자유를 위축시키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
발제: 이재준 HK교수2020년 10월 8일일상에서 얼마든지 혐오하고/혐오 받을 수 있다는 사실에서 우리는 혐오를 분명하게 의식한다. 하지만 거기서 한 발 더 내딛어 그것이 무엇인지를 알고자 하면 그 순간 머릿속은 혼란스러워진다. 경험적 사실로 덩그러...
발제: 이지형 교수(일본학과)2020년 9월 4일『퀴어 페미니스트, 교차성을 사유하다』는 장애-퀴어, 에이섹슈얼리티(무성애), 바이섹슈얼(양성애), 성노동, 트랜스젠더퀴어 등 그간 한국 사회의 퀴어 논의에서 지속적으로 배제되어 온 주제를 중심으로 기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