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 : 신별 연구원
다양한 색들의 꽃이 만개한 우리 대학에는 봄 내음이 가득하다. 매화와 산수유 꽃을 시작으로 벚꽃들도 꽃망울을 터뜨리기 시작했다. 겨울이 가고 봄이 온 것처럼 우리 연구소 공감인문학센터에서도 4차년도를 마무리하고, 5차년도를 시작한다.
<포스트-혐오> 웹진 14호 공감인문학센터 페이지에서는 4차년도를 마무리하는 1-4월의 강좌와 공감인문학센터 5차년도의 계획에 대해 전한다.
∙ 인문강좌 프로그램: <이달의 공감읽기>
1월 23일에는 고려대학교 노어노문학과 김혜란 강사의 ‘체홉의 속물들, 여자들’이라는 주제로 강연이 진행되었다. 이 강좌에서는 체홉이 그의 작품 속에서 속물성, 속물들을 어떻게 정의하고 있는지, 그 정의는 개별작품에 어떻게 구현되고 변형되는지 살폈다. 또, 체홉이 그려내는 다양한 속물들, 범속성의 양상과 함께 과연 인간은 범속함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을지, 체홉의 ‘매혹적인 속물들’에서 그 탈출의 희망이 있을지 함께 생각해 보는 시간을 가졌다.
1월 25일에는 ‘페트루솁스카야의 <시간은 밤>: 가난한 미혼모의 글쓰기’라는 주제로 강의가 진행되었다. 현대 러시아의 대표적인 여성 작가 중 한 사람인 페트루솁스카야와 그녀의 창작 전반의 특징을 소개하고 그의 대표작 <시간은 밤>을 살펴보았다.
|
|
1월 30일에는 충북대학교 러시아·알타이 연구소 차지원 학술연구교수는 ‘통역, 공동거주(co-hanbitation)의 전망: 류드밀라 울리츠카야의 『통역사 다니엘 슈타인』’이라는 주제로 강의를 진행하였다. 이 강의에서는 러시아 현대 여성 문학 작가이자 한국에서 박경리문학상을 수상했고, 노벨문학상 후보자이기도 했던 류드밀라의 작품을 소개하고, 작품에 담긴 화해와 공존의 메시지를 살펴보았다.
|
|
3월 5일에는 한성대학교 크리에이티브인문학부 김혜윤 강사의 ‘할리우드 SF영화로 보는 내일의 공동체 그리고 인종 문제: 이상한 나라의 에블린
3월 7일에는 ‘뉴 아시아에 희망을?:
|
|
4월 2일에는 인아영 문예평론가의 ‘아픈 몸과 나이 드는 몸: 질병과 노화와 동시에 문학의 재현’이라는 주제로 강연이 진행되었다. 인간은 누구나 늙지만 ‘계급’, ‘젠더’, ‘지역’, ‘민족’에 따라 ‘나이듦’은 다르게 경험된다. 이 강연에서는 지금 우리 사회는 그 ‘나이듦’을 어떻게 바라보고 있는지 살폈다. 또한 박완서, 오정희, 전하영, 이주혜의 소설을 함께 읽으면서 한국문학이 재현하는 나이 드는 몸을 통해 우리는 어떤 생각을 할 수 있을지 함께 이야기하는 시간을 가졌다. 4월 4일에는 ‘아픈 몸과 그 재현’이라는 주제로 강연이 진행되었다. 인간은 누구나 아프지만 우리는 치유라는 이름으로 또 다른 폭력을 낳기도 한다. 동시대 문학이 재현하는 아픈 몸을 통해 우리는 어떤 생각을 할 수 있을지 임솔아, 김멜라, 현호정의 소설 작품을 읽으며 생각해 보았다.
|
|
∙인문강좌 프로그램: <같이가치공감학>
2월 27일에는 서울시립대학교 도시인문학연구소 김은주 연구교수는 ‘질 들뢰즈의 리좀과 되기’라는 주제로 강의를 진행하였다. 철학자 질 들뢰즈가 펠릭스 가타리와 더불어 쓴 『천개의 고원』에서 제시한 리좀과 되기 개념에 대해 함께 알아보았다. 2월 29일에는 ‘되기에서 여성-되기로’라는 주제로 강연이 진행되었다. 이 강의에서는 여성-되기의 내용을 이해하고, 이후 여성-되기라는 개념이 페미니즘 이론에 어떤 영향을 끼치고 비판·수용되는지 함께 생각해보는 시간을 가졌다.
|
|
3월 12일에는 시소감각통합상담연구소 지석연 소장의 ‘돌봄의 가치와 실제: 나와 너의 다름을 넘어 ‘잇다’’라는 주제로 강의가 진행되었다. ‘잇다’라는 키워드를 통해서 장애, 연령 등 다양성을 가진 사람들의 공존의 가치와 필요성과 가능성에 대해 살폈다. 그리고 다양한 돌봄 형태와 사례들을 통해서 돌봄이 어떻게 사람들의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지 함께 생각해 보는 시간을 가졌다. 3월 14일에는 ‘배제하지 않고 배제되지 않기’라는 주제로 강연이 진행되었다. ‘하기’와 ‘않기’로 배제와 포용의 현상을 탐구하는 시간을 가졌다.
|
|
3월 26일에는 한림대학교 고령사회연구소 김영범 부교수의 ‘한국 노인은 왜 우울한가: 사회학적인 접근’이라는 주제로 강연이 진행되었다. 이 강연에서는 한국 노인의 우울과 자살의 관계, 그 특징이 무엇인지 살폈다. 나아가 사회학 이론을 중심으로 하여 사회학적으로 접근하여 우울과 자살을 낮추기 위한 방안에 대해 함께 생각해 보는 시간을 가졌다.
|
|
∙5차년도 계획
공감인문학센터에서는 2024년에도 다양한 인문강좌, 인문행사와 더불어 대중총서 <공감인문학>의 발간을 앞두고 있다. 또한 5차년도에는 우리 대학 학생들과 용산구 시민들이 함께 참여할 수 있는 대중화 프로그램을 적극적으로 진행할 예정이오니 많은 분께서 관심을 주시길 부탁드린다.














